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1.07] 나의 첫 투자 수업
    취미생활/책과 영화 2021. 7. 18. 19:15

    옛날에는 책을 많이 읽는데 집착했다. 덕분에 쉬운 책들로 1년에 50~100권 정도 읽을 수 있었다. 

    하나의 책을 읽더라도 곱씹으며 여러번 읽으며 생각하고 비판하며 읽는 재미를 몰랐던 것 같다.

     

    읽으면서 생각을 참 많이해야하는 주제라고 느꼈다. 

    우리들의 최대 관심사, 주식

    역시 뭐라도 된 사람들은 우연이 없다. 끊임없이 철저하게 노력하며 거기에 운을 더해 성공을 한다. 

    그들이 원하는 삶을 절대 공짜로 얻지 않는다. 

     

    나도 이 주식의 세계에 발을 딛기 위해 몇 가지 책을 골랐고 그 책을 여러 번 읽고 생각하여 내 가치관이 흔들리지 않게 멘탈을 다 잡아야겠다. 나만의 철학을 갖기 위해, 자신만의 원칙을 지키며 흔들리지 않는다면 결코 실패하지 않는 투자자가 될 수 있다고. 

    경제적 자유, 시간적 자유, 관계적 자유가 오는 그 날까지.

     

    가난은, 가난을 알아야 떨쳐낼 수 있다. 

     

    1장 사랑하는 딸에게 경제 수업을 들려주는 이유

    Q. 경제 공부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니?

    -> 자본주의를 이해하고 내가 살아가는 세계에 대한 삶의 방식을 어떻게 더 유리하게 만들 수 있는 지에 대한 공부라고 생각한다.  부자들은 많은데 누구나 부자가 되지 못한다. 

     

    Q. 학교 공부와 경제 공부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 학교 공부는 살아가는데 있어서 기초 지식에 대해 공부하는 것, 과거를 알고 현재를 알고 미래를 보는 공부

    경제 공부란 어쩌면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의 돈에 관한 공부.

     

    Q. 진정한 실력을 쌓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하나를 깊고 끈질기게 파고 들어야한다. 공부를 해야한다. 다양한 의견들 속에서 나의 가치관을 세워야한다. 

     

    2장, 주식투자란? 

     

    * 벨류에이션 

    현재 기업의 가치를 판단해 적정 주가를 산정해내는 기업가치평가 작업

    주식 대비 기업의 매출, 이익, 자산이나 현금 흐름 등 다양한 경영지표의 변화를 분석해 종합적으로 산출

     

    돈을 벌면 품위있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돈만 아는 사람이 아니라 돈도 많고, 교양도 풍북하고, 지식도 넓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투자 덕목 1순위는 '겸손' 

     

    왜? 에 답하라. - 왜 그 주식을 샀는가? 라고 스스로 물었을때 스스로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내가 왜 투자했고, 앞으로 어떻게 투자할 것인지 명확한 답을 내릴 수 있어야 합니다. 

    스텝바이스텝으로 달려서 데드포인트를 넘어 세컨드윈드를 느껴보세요 (세컨드윈드: 운동하는 중에 고통이 줄어들고 운동을 계속하고 싶은 의욕이 생기는 상태)

     

    Q. 꼭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을 때 어떤 핑계를 대니 ? 

    -> 오늘은 피곤하다. 쉬고싶다. 

     

    Q. 주식투자로 인생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하니 ? 

    -> 잘 모르겠지만.. 공부해서 나쁜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3장, 뜻을 세우고 그 길을 가려면

     

    재무제표, 산업, 기업, 거시경제, 기술적 분석 등.. 이런 것들을 다 습득하고 실력이 1이 넘었을 때 본격적으로 자금을 투입해야한다.  

     

    Q. 뜻을 세운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 나만의 가치관으로 중심을 잡는 일, 

     

    Q. 뜻을 세운 후 주위 사람들이 이러쿵저러쿵 잔소리를 하고, 충고를 하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 내 마음을 이끄는 조언이면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만 내가 공부한 시간들을 믿으며 투자를 지속한다. 

     

    *추천 책 : 대니얼타운, 아빠와 딸의 주식 투자 레슨

     

    4장, 가치투자

     

    Q. 어떤 사람에게 그 사람만의 가치가 있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 그 사람만의 가치가 있다. 바람앞에 흔들리듯 타인에게 흔들리지 않고 자신을 믿고 소신껏 행동한다.

     

    Q. 어떤 기업에게 그 기업만의 가치가 있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 그 기업만의 가치가 있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분명하고 그 구성원 하나하나가 회사를 위해 일함으로써 미래적 가치를 창출해 낸다. 

     

    Q. 가치가 있는 기업의 예를 2~3개만 들 수 있겠니? 그 이유는 무엇이지 ? 

    -> 내가 생각하는 가치가 있는 기업은 삼성, 애플.

    전 세계가 아는 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 확고한 가치가 없으면 힘들다고 생각한다. 

    삼성은 삼성의 나름대로 보고 중심의 문화라고 생각하고, 애플은 애플을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기까지 다양한 노력과 시도를 거듭하여 발전해 왔다. 

     

    5장, 주식투자 복리 마술

     

    Q. 복리가 무엇인지 설명해 볼래 ? 

    -> 복리는 원금을 포함해 이자에 이자를 붙여 계산하는 방법이다. 수익 뿐 아니라 손실로도 복리로 불어날 수 있다. 

    Q. 만약 네가 꼭 돈을 빌려야 할 일이 있을 때 이자를 지급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 

    -> 아주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Q. 눈사람을 만들 때처럼 돈을 굴리면 점점 커질까? 

    -> 스노우볼 효과, 아직 1이 되지 않아 알 수 없지만 꼭 돈을 굴려 커지게 만들 것이다. 

     

    6장, 한국에서 태어난 게 행운 ? 

    - 자신의 원칙이 있어야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줄 알아야하고, 재무제표를 볼 줄 알아야합니다. 

    Q. 주식투자가 무엇인지 알고 있니? 주식투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 주식투자란 기업에 돈을 투자하여 이익을 얻는 것,, 예전에는 주식투자가 위험하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열심히 공부한다면 꽤 돈을 벌 수 있는 제태크수단

    Q. 너에게 10만원 정도의 돈이 있고, 누군가 주식투자를 해보라고 권하면 할 생각이니? 그 이유는? 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니 ? 

    - 10만 원으로 주식투자를 일단 해보라고 말하고 싶다. 계좌개설부터 종목 탐색까지 직접해보고는 알 수 없다. 

    Methodology Book of Maekyung FnGuide Index

    8장, 중요한 시험을 치르듯 신중하게 

    왜 그 가격에 사서 왜 그 가격에 팔았는지 스스로 이유를 댈 수 있어야 합니다. 

    자신이 열심히 한만큼 수익으로 돌아오면 힘은 들지만 무척 즐겁고 행복합니다. 

     

    9장, 부지런하기

     

    10장, 자신만의 철학 

    마케팅은 market + ing 입니다. 마켓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을 뜻합니다. 

    3c, company, consumor, competitor 를 먼저 분석합니다. 

    리서치가 끝나면 SWOT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분석 

    전략부분 STP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시장세분화 

    4P (Place, promotion, pricing, product)를 시행 

     

    코카콜라의 업의 개념은 딱 정해져 있습니다. '물'입니다. 마시는 물을 이기는 것! 

    - 나는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를 스스로 정의하는 일이 가장 중요합니다. 

    나는 어떤 사람이고, 나는 어떤 기업이고, 나는 어떤 일을 잘할 수 있고 자금은 얼마만큼 있고 앞으로 현금흐름은 어떻게 되고 어떤 조력을 받을수 있을지. 

    예를 들면 ) lg 화학이 세계 1위 배터리 점유율인데도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그러면 경쟁사인 삼성sdi는 어떻게 될 것이고 sk이노베이션은 어떻게 될 것이냐를 분석해야합니다. 

     

    Q 삶의 철학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니 ? 

    - 삶의 철학... 

    Q 너의 현재 상황에서 어떤 투자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니? 

    - 부동산, 주식, 금, 자산 포트폴리오를 세운 후.. 주식과 금부터 ! 

     

    11장, 내 사업을 하듯이

    주식시장에서 매수한 기업의 시총이 현재 10억인데 매년 3억을 번다면 이를 PER 3, 멀티플 3 이라 합니다. 

     

    12장, 자신만의 투자방식

    Q. 사업(투자, 장사)을 해서 돈을 버는 게 좋을까? 아니면 직장생활을 하면서 살아가는게 좋을까? 각가의 장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니?

    - 사업은 성공하면 크게 성공할 수 있지만 매순간 사업생각, 일생각, 직장생활은 안정적인 소득이지만 내 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없다. 

    Q. 어느 것이 너에게 잘 맞을까? 어떤 직업을 가져보고 싶니 ? 

    - 아직 사업을 해보지 않아 잘 모르겠다.. 둘 다 역시 힘들다. 

     

    13장, 투자에 실패하는 사람들의 특장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부터 앞으로 나아갈 방향 등을 지켜보고 적어도 몇 년치 뉴스들을 다 읽어보고 투자해야 합니다. 

     

    20장, 한국 증시만의 특징

    우리나라 증시는 일일 상하한의 제한이 정해져 있스니다. 상한가/하한가라고 부르지요, 

    상한가는 주식의 상승제한선입니다. 하루동안 일정 퍼센트 이상 오를 수 없게 제한 합니다. 

    과거에는 15% 였지만 현재는 30% 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으로 나뉩니다. 

    주식시장은 증권거래소를 통해 주식을 사고파는 시장입니다. 증권거래소에서 주식을 거래하려면 주식시장에 상장되어야 합니다. 

    한국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이자 유가증권시장의 정식 명칭인 (KOSPI)는 상장 조건이 엄격하기 때문에 대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스닥 시장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유가 증권시장이란 한국거래소(KRX)가 개설, 운영하는 시장으로써 엄격한 상장 요건을 충족하는 주식이 상장되어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유망한 기업이라도 상장조건을 갖추지 못한 기업도 많습니다. 이들 기업의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이 코스닥(KOSDAQ)입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본부가 운영하는 시장으로 유망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합니다.  미국의 나스닥(NASDAQ) 시장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중소, 벤처기업을 위한 증구너시장으로 기업의 자금조달 및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시장입니다. 

     

    * 코스피 주요 사장 요건 

    - 기업규모 : 자기자본 300억 원 이상 

    - 설립 3년 이상 

    - 3년 평균 매출 700억 원 이상

    - 최근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 상장 주식 100만 주 이상 

     

    * 코스닥 주요 등록 요건 

    - 기업규모 : 자기자본 30억 우너 이상

    - 설립 후 0~3년 기업

    - 매출액 50~100억 원 이상 

    - 시가총액 90억 원 이상

    - 소액주주 500명 이상

     

    대차거래 : 증권회사가 고객과의 신용거래에 필요로 하는 돈이나 주식을,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금융회사에서 증권을 유상으로 빌려주는 대출거래 

    공매도는 간단히 말하면 주식을 빌려 파는 것

     

    21장, 종합주가지수와 주가

    주가지수 = 경제성장률 + 물가상승률 

    시가총액 = 순이익 X PER (MULTIPLE) 

     

    스태그 플레이션 : 경기 불황 상태에서도 물가가 계속 오르는 현상 

    리세션 : 불경기까지는 이르지 않는 일시적인 경기 후퇴

    디플레이션 : 재화와 용역의 일반적이고 지속적인 물가의 하락 

     

     

    우리는 비관론이 있을 때 투자하고자 한다. 
    우리가 비관론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비관론 덕분에 주가가 싸지기 때문이다.

    - 워렌 버핏 


    22장, 금리와 주가지수의 관계 

    금리 - 물가 - 고용의 연관성 

     

    24장, 댤러와 유가지수의 관계

    원화절하 = 환율상승 

     

    25장, 유가와 주가지수의 관계 

    OPEC(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은 석유 생산, 수출국 대표가 모여 결성한 협의체 

    1960년 국제 석유자본의 원유 공시가격의 하락에 대항하기 위해 이라크 정부 주관으로 개최된 바그다드회의에서 이라크,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베네수엘라 5개 나라가 만들었습니다. 

    결성 당시는 정보 수집 및 교환, 가격 카르텔이 주목적이었으나 1973년 제 1차 석유위기를 주도하여 석유가격 상승에 성공한 후 부터 생산량 조절하는 생산 카르텔로 변질 되었습니다. 현재는 14개 나라가 회원국 입니다. 

    -> 산유국들의 저유가 지속은 극심한 경제난을 야기하고, 이는 세계경제의 부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경제, 증시에는 양날의 검이 존재합니다. 고 유가가 지속된다면 그에 따라 원자재 수입물가 상승으로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주가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명확히 규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유가가 상승할 때 자신이 보유한 주식이 동반 상승하는지 하락하는지를 오랫동안 관찰해서 패턴을 파악한 후 매수/매도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출처 http://m.biz.khan.co.kr/view.html?art_id=202003190947001

    26장, 유동성

     

    M1 협의 통화 - 현금통화 + 요구불 예금 +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개인 MMF 포함, 법인 MMF 제외)

    M2 광의 통화 - M1 + 기간물 예/적금 및 부금 + 시장형 금융상품+ 실적배당형 금융상품 +금융채 + 기타

    M3 총유동성 - M2 + 한국증권금융 및 생명보험회사의 예수금 + 만기 2년 이상된 기타 예수금 

     

    M1는 언제든 현금화 할 수 있는 예금, M2는 유동성 좋은 만기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 및 시장금융상품

    현금이라도 은행금고에 저장되어 유통되지 않는다면 통화량에서 제외됩니다. 

    가장 포괄적인 것은 M3 은행/비은행/금융기관까지도 포함하는 모든 금융기관의 유동성 수준을 파악할 목적으로 개발된 지표

     

    29장, HTS, MTS 이용

    HTS 홈트레이딩시스템 (Home trading system) 컴퓨터를 이용해 주식매매 주문을 내는 시스템

    MTS (Mobile trading system) 핸드폰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시스템

     

     

    처음에 읽었을 때 알지못했던 내용들이 보였다. 세계 경제와 ,달러와, 유가와 금리와 여러가지 연결되어있는 주식시장

    만약 내용이 어렵다면 계속해서 다시 읽어봐도 좋을 것 같다. 많은 용어들의 뜻과 이해하기 위함은 계속해서 보고 공부하는 것이다.  

     

Designed by Tistory.